한양대학교 의과대학 학생평가지침(3시기 임상실습)
제정일 : 2020.07.30.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교육원리와 원칙에 따라, 3시기 임상실습과목에서의 평가는 다음의 지침을 따른다.
1. [사전공지] 실습 시작 2주 전까지 임상실습지침서에 평가의 주요 사항을 확정하여 공지한다. 채점기준표(scoring rubric)가 있는 경우 가급적 사전에 확정하여 함께 공지한다.
2. [평가영역 및 방법] 임상실습에서는 지식, 술기, 태도의 세 가지 영역을 평가한다. 각 영역에서 활용가능한 구체적인 평가방법은 아래와 같다. 단, 이 구분은 절대적이거나 상호배타적이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이 외에 다른 평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A. 지식(Knowledge) 중심의 평가 : 졸업성과 중 “7. 의학적인 지식”과 “8. 과학적인 사고”에 대한 평가를 주 목적으로 한다. 필기시험(선다형 또는 서술형) 또는 문헌자료(Textbook 또는 저널 등)의 보고에 기반한 평가이다.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ⅰ. 필기시험: 실습 전 시험(진단평가, Pre-test 등), 실습 후 시험(Post-test, 학년말 시험 등) 등
ⅱ. 문헌자료 보고 평가: 저널발표(또는 저널리뷰), 북리딩(또는 북리뷰) 등
B. 술기(Skill) 중심의 평가 : 졸업성과 중 “1. 진료능력”, “2. 의사소통”, “6. 자기주도 학습”, “8. 과학적인 사고”에 대한 평가를 주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상황(마네킹, 시뮬레이션, 표준화 환자, 실제 환자 등)에서의 병력 청취 능력과 임상 수기 수행 능력, 이를 바탕으로 한 의무기록 작성 및 보고 능력에 대한 평가이다.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ⅰ. 진료수행 평가: Role play, CPX 등
ⅱ. 수기수행 평가: OSCE, Skill lab 평가 등
ⅲ. 의무기록작성 평가: 입원 문진표, 예진 기록지, 당직일지, 판독문, 환자교육보고서 등
ⅳ. 의무기록발표 평가: 증례 발표 등
ⅴ. 자기평가: logbook, 임상실습점검표, 학습성과자기평가표 포함 등
C. 태도(Attitude) 중심의 평가 : 졸업성과 중 “3. 인문학적 소양”, “4. 전문직업성”, “5. 윤리성”에 대한 평가를 주 목적으로 한다. 임상실습 수행 중 확인된 전문직업적 태도와 행동(존중, 공감, 책임감, 신뢰성, 자기조절, 윤리·도덕성 등)에 관한 평가이다.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ⅰ. 출석
ⅱ. 실습 태도(환자의사관계 평가 등)
ⅲ. 성찰일지
3. [평가 결과의 활용] 교육성과의 달성과 학습 증진을 위하여 다음을 따른다.
A. 학생의 책임 : 학생은 자신의 임상실습 포트폴리오(이하 포트폴리오)를 직접 관리할 책임을 갖는다. 포트폴리오란 ‘임상실습 과정에서 생성된 학습 및 수행 이력의 기록물의 모음’을 의미한다. 또한 학생은 임상실습에서 구두로 제공받은 피드백을 스스로 기록하여 학습 개선에 활용할 책임을 갖는다.
B. 형성평가와 피드백 : 각 과 또는 분과의 교육담당교수는 임상실습 기간 중 1회 이상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학생의 역량 수준과 수행능력을 점검한다. 이 때, 의도한 교육성과에 비하여 미흡하거나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하여 구두 또는 서면으로 형성적 목적의 피드백을 제공한다.
C. 총괄평가 : 총괄평가를 위한 임상실습 성적 산출에는 2-A, 2-B, 2-C의 평가 점수를 고르게 활용한다. 단, 포트폴리오 평가시 자기평가(2-B-v)는 가급적 반영하지 않는다. 필기시험(2-A-i)의 반영비율은 가급적 최소화하며, 성적에 포함되는 경우 전체의 20%를 넘지 않도록 한다.
D. 이의제기 : 확인한 성적에 문제가 있는 경우, 학생은 정해진 절차에 따라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E. 학습자 인계 : 교육담당교수는 본인과 동료 학생의 학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대한 결함이나 심각한 전문직업적 문제행동이 확인된 경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대처한다.
ⅰ. 해당 실습의 교육책임자가 개별 지도 및 상담한다.
ⅱ. 주요 사항을 다음 실습 책임자에게 알린다.
4. [평가운영] 평가의 지속적 개선과 신뢰도와 타당도 확보를 위하여 다음을 고려한다.
A. 평가의 신뢰도 확보를 위한 방안
ⅰ. 평가자 수를 늘린다. 예를 들어, 학생 증례발표 시 평가자의 숫자를 늘린다.
ⅱ. 다양한 내용 또는 다양한 상황에서 평가한다. 예를 들어, 병력청취능력을 외래 예진과 입원환자에 대해서 평가한다. 또는 두 가지 이상의 수기에 대하여 수행능력을 평가한다.
ⅲ. 평가 횟수를 늘린다. 예를 들어, 성찰보고서를 2회 이상 작성하게 한다.
B. 평가의 타당도 확보를 위한 방안
ⅰ. 평가의 목적에 적합한 채점기준표를 사용한다.
ⅱ. 단순한 사례와 복잡한 사례에 대한 수행능력을 평가한다.
ⅲ. 모의상황(마네킹, 시뮬레이션 등)과 실제상황(표준화 환자, 실제 환자)에서 수행능력을 평가한다.
ⅳ. 상황에 따라 학생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조절하며 수행능력을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