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교실안내
- 전화번호 02-2290-8430
- FAX 02-2298-2055
- 교실위치 한양대학교병원 동관 8층
02 교실연혁
- 1968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개설
- 1972년 한양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개설, 병동 본관 12층 보호병동 / 외래 본관 2층
- 1976년 임상심리 전문가 수련과정 개설
- 1978년 Depot clinic 개설
- 1982년 정신건강연구소 설립
- 1994년 소아청소년 clinic 개설
- 1995년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신경정신과 개설
- 1998년 성동정신건강센터 협력기관 계약체결
- 1999년 Stress clinic 개설
- 2000년 낮병원 개설, 정신질환자 유전체 DNA 소재은행 설립
- 2002년 외상후 스트레스 clinic 개설
- 2003년 International EMDR(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Training Workshop 개최
- 2004년 한양대 ADHD Workshop 개최
- 2005년 구리시 정신보건센터 협력기관 계약체결
- 2008년 양평군 정신보건센터 협력기관 계약체결
- 2011년 정신건강의학교실로 개명
03 교실소개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정신건강의학교실은 인간의 마음과 행동을 이해하고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연구와 교육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불안장애, 스트레스장애, 우울증, 조현병, 중독정신의학, 소아청소년정신의학, 노인정신의학 등 정신의학 분야의 다양한 학문적 접근을 통해 정신질환의 원인, 증상 및 치료 방법을 탐구하며, 이를 임상과 교육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정신건강의학교실은 1968년 의과대학 설립과 함께 출범하였으며, 1972년 한양대학교병원 개원과 동시에 임상진료를 시작하였습니다. 1982년 정신건강연구소를 설립하였고, 1991년에는 국립정신건강센터 등 여러 수련병원들과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현재까지 전공의 파견 교육 및 공동연구를 이어오고 있으며, 1994년에는 소아청소년 정신건강클리닉을 개설하여 전문적인 교육과 진료를 강화했습니다. 1995년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개원 이후에는 구리병원에서도 전공의들에게 폭넓은 임상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03년부터는 심리적 외상 치료에 효과적인 안구운동 민감소실 재처리요법(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EMDR)을 전공의 교육과정에 도입하여 트라우마 환자의 진료수준을 높였습니다. 또한 서울 성동구, 경기도 구리시, 경기도 양평군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위탁운영하며 지역사회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다양한 사업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11명의 교수진이 12명의 전공의 수련을 맡아 정신건강의학 교육, 연구 및 진료를 균형 있게 이어가고 있습니다. 교육에 있어서는 의예과 행동의학, 의학과 정신과 행동 계통 강의 및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실습 및 대학원 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특히 실습에서는 의학과 3학년 학생들이 병동에서 실제 입원환자를 배정받아 교수의 지도하에 교육을 받으며, 병동회진 및 외래참관을 시행하여 실제 진료과정을 경험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정신건강의학교실은 앞으로도 창의적인 연구와 체계적인 교육, 환자 중심의 따뜻한 진료를 바탕으로 우리 사회의 정신건강 증진에 기여하겠습니다.
04 연구활동
정신건강의학교실은 1982년부터 정신건강연구소에서 주최하는 ‘정신건강연구소 세미나’을 매년 1-2차례씩 개최하고 있다. 1991년 본 교실과 국립서울병원 및 계요병원 자매결연-상호 전공의 파견교육, 공동연구 및 합동 Psychiatry Grand Round 개최 시작하였고,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1994년 소아청소년 clinic이 개설 되었고, 전공의 수련 기간 중 원내에서 소아정신과 수련을 실시하게 되었다. 1995년 6월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개원으로 전공의 파견 rotation 근무가 시작되었다. 서울병원과 구리병원 양쪽의 전공의들은 전공의 시절 다른 문화권에 있는 환자를 경험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2003년부터 전공의 수련 교육에 EMDR(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을 추가하여 외상 환자 진료의 수준을 높이고, EMDR 월례회의를 통해 EMDR의 다양한 치료기법을 익히고 토론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지역사회의 역학 분야 연구와 환자들의 사회 복귀를 위해서는 서울 성동구 정신건강복지센터, 경기도 구리시 정신건강복지센터, 경기도 양평군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연계하여 다양한 지역사회 사업과 협력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05 명예교수
- 김재환 명예교수
- 남정현 명예교수
- 안동현 명예교수
- 박용천 명예교수
정신건강의학교실 Major in Psychia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