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닫기

01 교실안내

  • 전화번호 02-2290-9359
  • 교실위치 서울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1 한양대학교병원 동관 6층 608호

02 교실연혁

  • 1972. 05. 부속병원의 개원시에 병원 본관 3층에 물리치료실 설치
  • 1976. 04. 재활의학과로 승격하고, 초대 재활의학과장으로 이강목 교수 취임. 의과대학 의학과 재활의학교실 설립 및 주임교수로 이강목 교수 겸직. 작업치료실 및 의지 보장구 제작실 설치
  • 1980. 09. 재활의학과에 언어치료실 설치
  • 1983. 03. 재활의학과 전문의 수련과정(3년) 설립
  • 1986. 03. 대학원 의학과 재활의학전공 과정 설립
  • 1990. 03. 재활의학과 전문의 수련과정 4년으로 변경
  • 1994. 01. 족부변형 클리닉, 강직성 척추염 클리닉, 동통클리닉 개설
  • 1995. 03. 구리병원 재활의학과장으로 이상건 교수 취임
  • 1995. 06. 구리병원 재활의학과 진료 개시
  • 1997. 08. 이강목 교수 정년퇴임 및 명예교수 추대
  • 1997. 11. 외래진료실 및 처치실 2개에서 4개로 확장
  • 1998. 05. 류마티스병원 재활의학과 개설
  • 2000. 07. 서울병원 외래 진료실 동관 4층에서 5층으로 이전. 외래 진료실 4개, 처치실 2개로 확장.
  • 2013. 03. 서울병원 재활의학과 치료실 리모델링 및 확장
  • 2017. 07. 구리병원 신관 3층으로 이전 및 확장

03 교실소개

의과대학 교실소개자료_재활의학교실.JPG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은 질환과 기능 장애에 대한 진료와 연구를 통해 환자들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직업적 그리고 경제적인 능력을 회복시키는데 노력해오고 있습니다. 특히 병원 내의 다양한 직역과 타임상진료과, 의공학과 등과의 협업을 통해 최고 수준의 진료 및 연구를 제공하고 있으며 우수한 의료진 양성을 위해 교육에 힘쓰고 있습니다.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은 1972년 병원 개원과 함께 물리치료실이 설치되고, 1976년 재활의학과로 승격하여 초대재활의학과장으로 이강목 교수님이 발령되며 시작되었습니다. 1983년 재활의학과 전문의 수련과정 설립, 1986년 대학원 의학과 재활의학과 전공과정이 설립되었습니다. 또한 1995년 구리병원 개원과 함께 이상건 교수님이 구리병원 재활의학과장으로 임명되며 구리병원 재활의학과가 시작되었습니다. 현재 서울병원 재활의학과 3명의 교수진(박시복, 김미정, 이규훈)과 1명의 임상교수(최수진), 구리병원 재활의학과 3명의 교수진(장성호, 한승훈, 박재현)과 1명의 임상교수(윤여준)가 환자 진료, 연구, 학생과 전공의 교육에 힘쓰고 있으며 연차 당 2명, 총 8명의 전공의가 서울병원과 구리병원에서 순환 근무하고 있습니다. 서울병원에서는 류마티스 병원 개원과 함께 1998년 류마티스 재활의학과를 개설하여 2003년부터는 관절재활의학과로 명칭을 변경하여 진료 중에 있으며, 2011년부터 루게릭 클리닉 내에서 재활의학과 진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구리병원에서는 2018년 만성통증센터 내에 발걸음 클리닉 및 관절재활클리닉을 개설하여 진료 중에 있으며, 2025년부터 경직 통증클리닉 개설하여 진료 중에 있습니다.
교육면에서는 서울병원과 구리병원에서는 다양한 주제(journal, EMG, topic, PT, VFSS, inter-department)로 컨퍼런스를 시행하여 임상 교육 및 최신 지견을 제공하며 교육에 힘쓰고 있습니다. 학생 실습에서는 외래, 각종 시술 및 검사 참관을 하고 있으며 학생들이 실제 환자를 배정받아 교수님의 지도하에 실습을 하고 이에 대해 발표하는 것을 통해 임상 경험과 질환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연구 면에서는 의공학과, 국책연구기관, 기업 등과 함께 뇌신경재활, 로봇재활, 소아, 연하곤란, 근골격계 질환, 스포츠의학, 보행, 디지털 치료제 등 다양한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여 우수한 논문을 매년 해외 유명 전문학술지에 발표하고 있습니다.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은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재활의학의 발전을 위해 노력해왔으며 앞으로도 최선의 진료, 창의적 연구, 양질의 의학교육을 통해 인재 양성에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04 연구활동

재활의학과 교실은 노인인구가 늘어나는 추세에 발맞추어 낙상으로 인한 합병증 및 의료비용에 대한 수요조사, 다기능 측정기술 기반 고령자 맞춤형 건강증진 콘텐츠 개발, 관절염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관찰연구 등의 연구 활동을 통해 앞으로 의료계가 발전해야 하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고, 어떠한 준비가 필요할 것인지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 각광 받고 있는 재활 로봇이나 웨어러블 기계를 바탕으로 편마비 환자의 족하수 방지를 위한 보행 재활 로봇의 발목 모듈개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보행보조로봇 연구 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IT 기계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디스플레이 연동 체감형 게임 디바이스 기술 개발, 스마트보행패턴 분석 시스템과 보행교정 및 개선 콘텐츠 개발에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전국민의 건강 향상을 위해 건강 및 운동평가 알고리즘 개발 및 임상검증등의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05 명예교수

  • 이강목 명예교수

재활의학교실 Major in Rehabilitation Medicine

QUICK MENU SERVICE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