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닫기

01 교실안내

  • 과위치 기초교실: 서울캠퍼스 제1의학관 4층
    서울병원 병리과: 한양대의료원 서울병원 신관 7층
    구리병원 병리과: 한양대 구리병원 본관 4층

02 교실연혁

  • 1970년 3월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이 창설되었다(서울캠퍼스 제1의학관 1층). 구국회 선생이 교수로 부임하였다.
  • 1970년 10월 김종만 선생이 조교수로 부임하였다.
  • 1971년 1, 2학기 1968년도 의학과 입학생(본과2학년)을 대상으로 첫 병리학 강의 및 실습을 진행하였다.
  • 1971년 1, 2학기 1970년 간호학과 입학생(2학년)을 대상으로 첫 병리학 강의 및 실습을 진행하였다.
  • 1972년 3월 대학원 의학석사과정이 개설되었다.
  • 1973년 3월 대학원 의학박사과정이 개설되었다.
  • 1973년 3월 우교석 선생이 교실의 첫 조교로 부임하였다.
  • 1974년 2월 구국회 교수를 지도교수로 첫 의학석사가 배출되었다(라세철 선생, 김명갑 선생).
  • 1973년 9월~1980년 5월 구국회 교수가 의과대학장을 역임하였다.
  • 1977년 2월 구국회 교수를 지도교수로 첫 의학박사가 배출되었다(김명갑 선생).
  • 1978년 7월 서울캠퍼스 제1의학관 4층으로 이전하였다.
  • 1979년 3월 우교석 선생이 전임강사대우로 부임하였다.
  • 1983년 3월 박찬금 선생이 전임강사로 부임하였다.
  • 1984년 2월 우교석 선생이 퇴직하였다.
  • 1984년 2월 구국회 교수가 정년퇴임하였다.
  • 1984년 3월 조교제도가 폐지되고, 전공의 제도가 도입되었다.
  • 1984년 3월 고영혜 선생이 전임강사로 부임하였다.
  • 1984년 8월 이중달 교수가 서울병원 별관 2층에 조직병리과를 신설했다
  • 1984년 12월 박문향 선생이 부교수로 부임하였다.
  • 1985년 3월 홍은경 선생이 전임강사로 부임하였다.
  • 1994년 3월~1996년 2월까지 이중달 교수가 의과대학 학장직을 역임하였다.
  • 1994년 2월 김종만 교수가 정년퇴임하였다.
  • 1995년 2월 고영혜 부교수가 퇴직 하였다.
  • 1995년 10월 31일 구리병원이 개원하였고 이때 박용욱 선생과 장세진 선생이 부교수, 조교수로 부임하였다.
  • 1996년 3월 공구 선생이 전임강사대우로 부임하였다.
  • 1996년 3월 병리학 실험의 활성화를 위해 조교제도가 부활하였다.
  • 1998년 3월 서울병원 조직병리과는 별관 2층에서 신관 7층으로 이전을 했다.
  • 1998년 8월 이중달 교수가 정년퇴직을 했다.
  • 1999년 10월부터 2000년 10월까지 박문향 교수가 대한병리학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 2000년 부터 서울병원 조직병리과에 분자병리실이 개설되어 운영되기 시작했다.
  • 2001년 4월 홍은경 교수가 퇴직을 했다.
  • 2001년 6월부터 2003년 5월까지 박문향 교수가 대한세포병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 2001년 9월 백승삼 선생이 전임강사대우로 발령을 받았다.
  • 2002년 병리학회의 방침에 따라 조직병리과 명칭을 병리과로 변경하게 되었다.
  • 2003년 1월 서울캠퍼스 제1의학관 수리(renovation)를 완료하였다.
  • 2003년 3월 정희경 선생이 조교수로 부임하였다.
  • 2003년 5월 장세진 부교수가 퇴직하였다.
  • 2003년 9월 오영하 선생이 조교수로 부임하였다.
  • 2003년~2005년 공구 선생이 식품의약품안전청 ‘국가 독성유전체 기술응용사업단’ 단장을 역임했다.
  • 2004년 3월 대학원 협동과정 의생명공학과가 개설되었다.
  • 2005년~2007년 공구 선생이 한국과학기술원 도핑콘트롤센터 자문위원장을 역임했다.
  • 2010년 3월 장기석 선생이 조교수로 부임하였다.
  • 2010년 10월 퓨전테크센터(FTC) 12층에 의생명연구원이 개설되어 정희경 선생이 연구실을 이전했다.
  • 2011년 3월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이 개설되었다.
  • 2012년 9월 송영수 선생이 조교수로 발령을 받았다.
  • 2012년 10월 구리병원 병리과가 우수검사실 상을 수상하였다.
  • 2013년 2월 대학원 협동과정 맞춤의료학과가 개설되었다(학과장 공구교수, 비 의학전공자 연구인력 확충).
  • 2015년 현재 공구 교수와 정희경 교수가 기초의학 트랙으로 의예과, 의학과,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맞춤의료학과 대학원생의 교육에 참여하고 있으며, 연구에 활발히 매진하고 있다.
  • 2015년 현재 서울병원과 구리병원 병리과에서 시행하는 대부분의 검사를 자동화 시스템으로 전환하여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03 교실소개

의과대학 교실소개자료_병리학교실기초의학트랙의 병리학교실 소속 전임교원은 2명으로 공구 교수와 정희경 교수가 있다. 공구 교수는 전통적인 병리학교실의 터전인 서울캠퍼스 제1의학관 4층에서 연구교수, 박사후연구원, 대학원생과 함께 유방암에서의 후성유전학을 주제로 다양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고, 정희경 교수는 의생명연구원이 개설된 서울캠퍼스 FTC 12층으로 이주하여 박사후연구원, 대학원생과 함께 백혈병, 교모종에서의 후성유전학을 주제로 연구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병원 병리과는 병원의 신관 7층에 독립적으로 위치하며 4명의 전임교수와 전임의 들이 근무하고 있으며 구리병원 병리과는 본관 4층에 위치하며 2명의 전임교원과 1명의 임상교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병리과에서는 정확한 진단과 질적 향상을 위한 내부 및 외부 학술활동을 하며 임상각과와의 학술교류를 수행하고 있고, 전공의 및 학생들의 의학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병리 전문분야 뿐만 아니라 임상의와의 공동연구 등 학문적 발전을 위해 힘쓰고 있다.

04 연구활동

  • 박찬금 교수
    피부병리와 림프망내계를 전공하며 관련분야에서 다양한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 공구 교수
    유방암에서의 후성유전학을 주제로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 최근 맞춤의료학과 개설(학과장 역임)과 맞춤의학연구소 개설
    (연구소장 역임)을 통해 유전체학 연구를 통한 맞춤의료 분야도 연구하고 있다.
  • 박용욱 교수
    비뇨생식계 병리를 전공하며 관련분야에서 다양한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 오영하 교수
    혈액병리와 소화기병리, 간담도계병리 및 신경계 병리를 전공하며 관련분야에서 다양한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 백승삼 교수
    소화기계병리와 호흡기계병리 그리고 골병리를 전공하면서 특히 대장암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 정희경 교수
    세포신호전달을 전공하였으며, 백혈병과 교모종에서의 후성유전학을 연구하고 있다. 최근 조골세포와 골육종에서의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 장기석 교수
    한국인 호발 암종의 조기 재발 및 예후와 연관된 신규 마이크로 RNA발굴, 암특이 조절 기전 및 임상적 유용성 검증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송영수 교수
    두경부병리와 비뇨생식기병리를 전공하며 특히 bioinformatics에 관련된 연구를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다.

05 명예교수

  • 김종만 명예교수
  • 박문향 명예교수
  • 박용욱 명예교수
  • 박찬금 명예교수
  • 이중달 명예교수

 

병리학교실 Major in Pathology

QUICK MENU SERVICE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