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연혁
정신건강연구소는 한양대학교의 의학계열 중에서 가장 먼저 설립된 연구소로 1971년
5월 한양대학교 부설기관 ‘뇌신경연구소’라는 명칭으로 처음 설립된 후, 1982년 3월
‘정신건강연구소’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본 연구소는 정신건강과 질병에
관한 임상 및 기초연구를 수행,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문화적 연구뿐 아니라, 뇌발달과 정신기능에 관련한 신경생물학적 연구 및
정신질환에 대한 임상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초대소장으로 진성기 교수(1971∼1974년)가 운영을 시작하여, 제2대 김광일
교수(1974∼1982년), 제3대 김이영 교수(1988∼1995년), 제4대 양병환
교수(1995∼1998년), 제5대 김광일 교수(1999~2001년), 제6대 양병환
교수(2001~2006년), 제7대 안동현 교수(2007~2019년), 제8대 노성원
교수(2020년~현재)가 소장직을 맡아 연구소를 운영해 오고 있다. 1971년 개소이후
지속적으로 연2회 정신건강연구와 관련한 세미나를 지속적으로 개최해 왔고, 1981년
연구소 연구 잡지인 [정신건강연구(Mental Health Research)]가 연1회 발간되어
정신보건 분야에 많은 기여를 해오다가 국내외 여건의 변화에 따라 2013년 제31집을
끝으로 종간하였다.
02기구 및 조직
본 연구소는 소장(노성원 교수) 및 운영위원(김대호, 최준호, 박선철, 이건석, 김인향 교수)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속위원들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학, 재활의학, 뇌인지융합과학, 임상심리학, 간호학 등 여러 분야의 객원연구원들이 정신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학술활동 및 연구과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03연구활동
- World Congres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ies 학술강연
- Pacific Rim College of Psychiatrists (PRCP) 학술발표
- Asia-Pacific Society for Alcohol and Addiction Research (APSAAR) 학술발표
-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EMDR) 연구 및 교육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대한불안의학회 등 국내학회 심포지엄 및 연수교육
- 디지털 치료, 인공지능 기반 맞춤 연구
- 마약류 사용자의 자살 관련 행동과 심리적 특성을 규명 연구, 청소년·청년 물질중독 고위험군 선별도구 및 조기개입 기술개발 연구, 발달장애인의 진단과 비약물적 처방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개발 연구
- 공과대학과의 융합연구로서 VR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정신질환 치료환경 모듈개발 연구
04전망
정신건강연구소는 20여년 전부터 지역사회 참여연구로서 서울 성동구, 경기도 구리시, 양평군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운영하며 지역사회 정신건강에 관련된 사업수행 및 관련 연구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왔다. 최근에는 중독정신의학 분야, 소아청소년정신의학 분야 등의 연구 및 국가보건 빅데이터 연구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향후 연구소는 정신건강과 관련된 융합연구를 선도하며 환자 중심의 맞춤형 치료 모델을 정립해 임상현장에서 실질적 변화를 이끌고, 글로벌 수준의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제표준을 선도하는 기관으로 발전해 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