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닫기

01설립 및 연혁

본 연구소는 1998년 1월 1일에 설립되어 개인과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다양한 연구를 시행함으로써 학문 발전에 기여하며, 유용한 보건 사업들을 개발함으로써 국민 건강 수준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 사업으로는 각종 질병의 역학조사와 관리대책개발을 위한 연구, 생정통계 및 질병감시체계 개발을 위한 연구, 지역사회 보건 영양과 관련한 연구, 지역사회 정신보건 및 재활, 학교, 노인보건사업 개발을 위한 연구, 의료보장제도에 관한 연구, 각종 보건교육 자료, 보건사업 지침서의 개발, 보건 의료인 및 일반인 대상 보건교육활동 실시, 지역사회 보건의료 관련 강좌 및 학술대회 개최, 지역사회 보건의료 관련 정보수집 및 교환 등의 활동을 시행한다.

2013년 5월 지역사회보건 뿐 아니라 신체와 정신건강, 초국가적 건강 정책 및 국제보건 사업으로 연구영역을 확대하기 위하여 연구소 개편을 하였다, 학제간 협력 연구 극대화를 위해 “건강”과“사회”를 핵심으로 하여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학제 간 연구를 극대화 하고자 연구 단위를 3개의 센터화로 대규모 사업 유치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연혁

 연월일

 주요내용

 1998

01.01 

 지역사회보건연구소 개소(신경정신과학교실 남정현 연구소장 임명)

 1998

07 

 양평지역보건센터 개소

 1998

11 

 국제심포지엄; 한국과 중국의 바이러스성 간염의 현황과 관리

 1999

 

 지역사회보건연구소 홈페이지 제작

 1999

06 

 국제학술세미나 개최: 국가 정신보건체계 모형구축

 2000

11.22

 국제학술대회 개최: 한중 심혈관질환 역학 세미나

 2002

10 

 국제학술대회 개최: 농약중독 및 관리대책

 2004

01.01 

 최보율 외 11명 운영위원 임명

 2006

11.03 

 국제학술세미나개최: International Seminar on CVD in Korea and Japan

 2007

02 

 일본 에히메대학 노인의학교실과 공동연구 시작 

(연구과제명; Association studies of the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Involved in Metabolic Syndrome in Korea and Japan)

 2007

10.01 

 예방의학교실 최보율 연구소장 임명

 2008

09 

 지역사회보건연구소 10주년 기념행사 

 2009

03.01 

 남정현 간사 임명, 김미경 간사 임명

 2009

07 

 한중일 유전체역학 연구 학술교류 개시 (연구과제명;"East-Asia Medical Genome Research Network")

 2012

03 

 정신건강의학과 남정현 연구소장 임명

 2013

03 

 산업의학과 송재철 감사 임명

 2013

05

 건강과 사회 연구소로 명칭 변경

 2013

09

 예방의학교실 신영전 연구소장 임명

 2013

09 

 건강과 사회 연구소 개소 세미나(몸,마음,사회)

 2013

12 

 연구소 조직 정비(부소장_김미경, 고문_남정현, 감사_송재철, 센터장_최보율,신진호,신영전, 간사_이은영)

 2014

10 

 국제 컨퍼런스 개최(International Conference for Sustainable School Health Project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2015

02 

 연구소 감사 남정현 교수, 간사 박소현(1명->2명 증원)

 2015

09 

 연구소장 연임 발령 (신영전 교수)

 2016

09 

 연구소 내 센터 1개 추가 결정(센터이름 미확정 상태)

 2016

09 

 국제학술대회 개최 (Future transition in blood pressure measurement for Nationwide Health Survey)

02기구 및 조직

2-1 연구소 소장 소개 : 신영전 예방의학교실 교수

2-2 조직도 및 센터별 인원 
연구소 기구 및 조직은 운영위원회 위원 및 고문, 감사를 두고 4개의 연구센터를 운영하여 각 분야별 연구팀을 운영 중에 있다. 세부 내역은 아래 기구 및 조직도와 같다.(2017.2월말 기준)

noname01 

2-3 연구소 연구원 현황

 구분

연구교원 

Post-Doctor 

연구원 

연구직원 

합계 

 재직

4명 

2명 

32명 

3명 

41명 

03연구활동

3-1 몸과마음 연구센터

• 질환연구, 건강수명 연구, 건강생활 연구 사업

  ⓵ 심혈관 질환 역학 관련 농촌코호트 유전체 연구, 혈압 연구, 식이 심혈관 연구, 식이 DataBase연구

  ⓶ 감염병 역학 관련 HIV/AIDS 코호트 연구

  ⓷ 유전 영향 관련 만성질환의 유전 환경 상호작영 분석 연구

  ⓸ 노인 영양 관련 노쇠에 영향을 미치는 영양 요인 연구

  ⓹ 영양역학 연구방법 관련 코호트 분석연구 및 그 외 자체 연구

  ⓺ 고혈압 환자 대상 임상시험에 관한 연구

 

3-2 지역사회보건 연구센터

• 건강증진연구, 보건인력개발 및 교육 사업

  ⓵ 신체활동과 건조환경에 관한 연구

  ⓶ 공중보건위기대응사업 연구

  ⓷ 감염병 및 고위공직자 FMTP 교육

  ⓸ 미래 감염병 대비.대응 전략 개발 연구

  ⓹ 지역사회건강조사 연구 

 

3-3 트랜스내셔널 헬스 연구센터

• 건강사회정책연구, 국제보건연구 사업

  ⓵ 북한 보건의료 주요 통계 도출 및 정책관련 연구

  ⓶ 일제강점기 조선에서의 공간, 사회적 지위와 몸에 관한 연구

  ⓷ 한국-UNDP 협력사업

 

3-4 (미정 ) 연구센터

• 송재철, 김인아 교수 연구 사업

  ⓵ 유해물질과 질병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업무상 질병 인정범위 확대방안 연구

  ⓶ MRI 기사들의 자기장 노출에 의한 건강영향 실태조사 및 체계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연구

  ⓷ 야간 특수 건강검진 운영개선 및 건강실태 연구

  ⓸ 생식독성물질 취급 근로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연구

  ⓹ 경찰관 긴급 심리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⓺ 만성퇴행성 신경질환 환자-대조군 연구

 

3-5 연구소 대.내외 기타 연구활동

  ⓵ 교내외 융합연구를 위한 활동 ☞ 보건복지부, 통일부 등 관련 정부부처, 북한학, 통계학, 의사학 분야의 융합적 연구관련 모임과 연구를 진행 중 

  ⓶ 대외활동을 위한 연구소 홍보 활동 ☞ 자체 홈페이지 보유, 별도의 페이스북(http://www.facebook.com/ihas.hy) 활발하게 운영 중 

  ⓷ 연구소 자체 학술지 발간 ☞ 없으나 의과대학차원의 공동학술지 활용 중

  ⓸ 정부 및 산학협력프로그램, 교육프로그램 등 기타 연구 활동(2016년 기준) ☞ 2016년 연구비 확보 현황(25개 과제 17억7천7백만원)

 

04전망

5-1 연구소 중장기발전계획(인프라, 인력, 재정, 연구활동 등)

 

• 인프라

  ⓵ 향후 대규모 중장기 과제를 수주하여 추가적인 공간과 장비를 확보할 예정 임

  ⓶ 특별히 약 10년 시한의 별도 연구 공간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진행할 계획 임

 

• 인력

  ⓵ 대규모 중장기 과제의 수주를 통해 중견연구인력(박사후과정, 연구교수)을 중심으로 단기적으로 2-3명, 장기적으로는 5-10명을 추가 확보할 계획 임 

  ⓶ 현재 연구위원 중 객원연구인원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 임

  ⓷ 연구보조인력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제도마련

 

• 재정

  ⓵ 대규모 중장기과제수주

  ⓶ 연구진(운영진 중심)의 다양한 Seed Money를 만들어 대규모 장기연구를 준비하는 소규모 연구에 활용할 계획 임

  ⓷ 정신건강센터, 치매센터, 교육프로그램 등을 운영하여 안정적인 추가재원을 확보하려 노력할 계획 임

 

• 연구활동

  ⓵ 새롭게 구성한 세 센터(몸과 마음, 지역사회, 트랜스네셔널)을 중심으로 연구팀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학교.내외 관련부분 주제를 공유하는 다양한 영역의 연구팀을 구성하여 다학제적, 융합연구들을 진행할 계획임

  ⓶ 연구의 기초를 든든히 하기 위한 통계, 연구디자인 관련 전문인력과 네트워크를 구축 운영할 계획 임

 

5-2 연구소 특성화 및 전문화(연구소를 대표하는 실적 및 계획)

• 현재 임상연구, 기초연구, 사회의학연구 등이 상호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연구 진행 계획 임

• 또한 학술연구와 현장정책 및 사업개발간의 연계도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는 연구 진행 계획 임

• 우리 연구소는 이러한 부분 간 연계 작업을 통한 융합연구와 실용적 연구를 지향 함

• 특별히 몸과 마음, 지역사회, 초국가로 천명한 다층적 연구를 지향하며, 내용적으로도 다양한 학제간 융합 연구를 진행하여 기존의 다른 연구소 활동과 차별화해 나갈 예정 임

• 구체적으로 정책전문가, 인문학자, 사회과학자들과 기초자연과학연구자들이 함께 몸과 마음, 지역사회, 초국가적 주제들을 진행할 예정 임

 * 예) 이민자 연구, 진화의학, Mixed analysis, 인지과학 등 

QUICK MENU SERVICE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