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닫기

01 교실안내

  • 전화번호 02-2220-0600
  • FAX 02-2281-7841
  • 교실위치 제1의학관 1~4층

02 교실연혁

  • 1988.05 김선일 교수 계량의학교실 입국
  • 1996.03 대학원 협동과정 의용생체공학 전공 개설
  • 2000.03 계량의학교실에서 분리, 의공학교실 창설, 김선일 초대 주임교수
  • 2003.03 김인영 교수 입국
  • 2003.12 김인영 교수로 주임교수 변경
  • 2004.03 이종민 교수 입국
  • 2005.03 김선일 교수, 이종민 교수 공과대학 생체공학 전공으로 소속 변경
  • 2007.03 의공학연구소 개소, 김인영 교수 연구소장
  • 2011.03 의생명공학전문대학원 생체의공학과 개설

03 교실소개

해부·세포생물학교실_이미지1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해부·세포생물학교실은 종합적이고 실용적인 의학적 판단 능력을 갖추고 창의적인 연구 역량을 지닌 전문 의료인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인체 형태학적인 기초의학 과목의 이론 및 실습 교육을 담당하고 있으며, 영상의학, 정형외과학, 신경외과학 등 다양한 임상의학 교육에도 기여 하고 있다. 또한 인체 형태학, 발생학, 생식의학, 면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여 의학 연구 인력의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현재 본 교실에는 5명의 전임교원(황세진, 김원규, 윤지희, 노재숙. 서윤경)과 2명의 실험코디네이터가 교육과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의학과 1, 2학년생을 대상으로 해부학, 조직학, 발생학, 신경해부학을, 의예과 학생을 대상으로 의학용어학 및 법의학을 교육한다. 또한 대학원 의학과에서는 해부학 및 세포생물학 전공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전문 연구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본 교실은 원활한 해부학 실습을 위해 시신 기증과 사후 처리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다양한 인체 표본 제작과 멀티미디어 자료를 확보하여 교육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아직 밝혀지지 않은 중요한 의학적 질문에 답하기 위한 연구가 폭넓게 추진되고 있다. 인체 형태학적 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체질인류학적 연구에서부터 신경조직의 in situ 분석을 활용한 신경독성 및 신경병증에 대한 분자적 연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임신 중 약물과 환경요인이 태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는 독성학 및 기형학적 접근이 전개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초기 난포 발달과 배란을 조절하는 인자들의 상호작용과 노화 연관 인자들의 생식 기능 조절 기전을 밝히며, 질환 동물모델 개발을 이용한 생식기 질환 치료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자가면역질환의 발병 기전을 규명하고 제어하기 위한 병인 T세포, B세포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본 교실은 전통과 혁신을 아우르는 교육과 연구를 통해 의학 지식의 확장을 선도하며, 학문적 성취를 사회와 인류의 건강 증진으로 이어가고자 한다.

04 연구활동

해부·세포생물학교실은 다음과 같은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1) 근육조직의 허혈 반응에 대한 연구, 2) 신경조직의 in situ 분석을 통한 신경독성 및 신경병증에 대한 연구, 3) 임신 중 약물이나 환경적인 요인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을 독성학이나 기형학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연구, 4) 초기 난포발달과 배란을 조절하는 인자들 간의 기능적 관계를 규명하는 동물실험, 5) 생식 기능의 노화와 관련된 인자들의 조절 기전 연구와 생식기 질환의 동물모델 개발 및 치료를 위한 연구, 6) 전분화능 줄기세포의 분자세포생물학적 기전을 유전체, 단백체 수준에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체 발달을 모사할 수 있는 세포모델을 실험실 수준에서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연구, 7) 자가면역질환에 관여하는 T, B세포의 발생과 조절에 대한 연구, 8) 인체 형태학에 기반한 체질인류학적 연구.

05 명예교수

  • 이규식 명예교수
  • 정호삼 명예교수

 

해부·세포생물학교실 Major in Anatomy and Cell Biology

QUICK MENU SERVICE
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